Java7 [자바]REST API 2 설정 관련 AnnotationAnnotation설명비고@SpringBootApplication-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어노테이션 입니다 @Controller-Http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클래스를 정의하는 어노테이션 입니다Spring MVC 뷰를 반환하는데 사용 됩니다.@RestController-RESTful 웹 서비스를 위한 컨트롤러를 정의하는 어노테이션 입니다RESTful 웹 서비스의 JSON,XML등의 응답을 반환하는데 사용 됩니다. [더 알아보기] - @Controller는 일반적으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뷰'를 반환하는데 사용이 됩니다. - @RestController는 HTTP요청에 대한 RESTful웹 서비스의 JSON,XML등의 응답을 반환하는데 사용이 됩니다.. 2024. 5. 7. DTO 와 VO DTO와 VO의 혼용 사용초판에는 VO를 사용하다 혼동의 여지가 있어 TO로 다시 냈고DTO는 TO앞 D(Data)의 줄임말 이다 결론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DTO는 데이터 전달용VO는 값 표현용 이다. DTO란? DTO는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이다 번역을 해보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이며데이터를 주고받을때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하는데 사용하는 바구니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구체적으로 계층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Web Layer에 해당하는 컨트롤러가 있고 Service Layer에 해당하는 Service가 있다.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DTO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한다. 데이터 전달용인 DTO는 오직 getter/setter 메서드 만을 .. 2024. 5. 4. 스프링@Bean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Spring Bean은 스프링 IOC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이다 (여기서 IOC컨테이너는) - 컨테이너는 보통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생선된 인스턴스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것 - 객체관리 주체가 프레임워크가 되기 때문에 개발자는 로직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IOC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을 책임지고, 의존성을 관리한다 그리고 Spring Bena에서 Bean에 대한 설명은공식문서에서 빈은 Sprign IOC 컨테이너에 의해서 관리되는 객체라고 되어있다.빈의 정의 하는데 Spring IOC컨테이너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인을 인스턴스화 하고 구성 및 모으는 책임이 있고이처럼 빈을 설명하는 데 ioc컨테이가 쓰.. 2024. 5. 3. httpServletRequest 주요기능 서블릿 객체에서 최종적으로 용을 처리하는 doGet/doPost 등은HttpServlet, HttpsServletResponse를 파라미터로 전달받습니다제공되는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기능메서드설명HTTP 헤더 관련getHeaderNames()getHaeder(이름)HTTP헤더 내용들을 찾아내는 기능 사용자 관련getRemoteAddress()접속한 사용자의 IP주소요청관련 getMethod()getRequestURL()getRequestURI()getServletPath()get/post정보, 사용자가 호출에 사용한 URL정보 등쿼리 스트링 관련getParameter()getParameterValues()getParameterNames()쿼리 스트링 등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용도로 사용전달 .. 2024. 5. 2. 자바스크립트 문법 JavaScriptJava객체 지향. 객체의 형 간에 차이 없음.프로토 타입 메커니즘을 통한 상속,그리고 속성과 메서드는 어떤 객체든 동적으로 추가될 수 있음클래스 기반, 객체는 클래스 계층구조를 통한 모든 상속과 함께클래스와 인스턴스로 나늼 클래스와 인트턴스는 동적으로 추가된 속성이나 메서드를가질 수 없음변수 자료형이 선언되지 않음(동적 형 지점, 느슨한 형 지정)변수 자료형은 반드시 선언되어야 함(정적 형 지정, 강한 형 지정)하드 디스크에 자동으로 작성 불가능.하드 디스크에 자동으로 작성 가능 문법var 갑을 = "병정"; JavaScript에서는 명령을 명령문 이라고 부르며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명령문이 한줄을 . 다차지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이 필요하지 않으나 한줄에 두개 이상의 명령문이 필요.. 2024. 5. 2. JAVA 파일 스트림 스트림 입출력 - 버퍼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이루어 지는 입축력이다자바의 입출력 스트림 -응용 프로그램과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 입력 스트림 : 입력 장치로부터 자바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전달 - 출력 스트림 : 출력 장치로 데이터 출력을 한다. 문자 스트림 -유니 코드(2바이트) 문자를 입출력 하는 스트림 -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 데이터는 다루지 못함 -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는 입출력을 할 수 없음문자 스트림을 다루는 클래스 -Reader/Writer -InputStreamReader / OutputStreamWriter - 텍스트 파일에서 문자데이터 입출력 바이트 스트림 클래스-바이트 스트림 - 바이트 단위의 바이너리 값을 읽고 쓰는 스트림 바이트 스트림 클래스.. 2024. 5. 2. 비동기 처리와 Axios 대부분 프로그래밍의 시작은 항상 동기화된 방식을 이용합니다.동기화된 방식이라는 의미를 간단히 코드를 사용해서 알아봅시다result1 = doA( );result2 =doB(result1)result3 = doC(result2)위의 코드는 흔하게 볼수있는 순차적으로 동기화된 코드입니다doA를 실행해서 나온 결과로 result1을 이용해서 doB 를 호출하는 방식이므로 코드의 진행 순서는 doA( )-> doB( ) -> doC( ) 의 순서대로 호출될 것을 알수 있습니다. 동기화된 방식의 단점은 doA( )의 실행이 완료 되어야만 doB( )의 실행이 가능하다는 점인데doA ( ) 가 결과를 반환할 때까지 다른 작업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동기화된 방.. 2024. 5. 2. 이전 1 다음